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산업재해예방
- 질식사고
- 안전보건
- 산업재해사례
- MSDS
- 공정안전관리
- 재해예방절차
- 산업안전
- IOT
- 공정안전감사
- 끼임
- 재해예방
- 작업중지해제
- PSM
- 끼임사고
- PSM12
- 고소작업
- 프레스끼임
- 재발방지대책
- 산업재해
- 12요소
- 유독가스농도측정
- PSM12요소
- 비상조치계획
- 작업중지
- 안전작업
- 자율안전확인신고
- 안전작업계획
- PSSR
- 리프트끼임
- Today
- Total
Safety
프레스 내 이물질 제거 중 끼임 (2020.08.20) 본문

재해개요
경기 평택시 ○○○○○ 내 프레스 자동화공정에서 가공물과 하금형 사이에 끼인 스크랩을 제거하던 중 상금형과 하금형 사이에 머리가 끼어 사망
재해발생원인
○ 프레스 금형 내 스크랩 제거작업 전 운전정지 및 안전블록 설치 등 조치 미실시 - 프레스 금형 내 스크랩 제거 시 슬라이드가 작동되어 작업자가 끼일 위험이 있음에도 별도의 운전정지 및 안전블록 설치 없이 작업 실시
○ 표준작업안전수칙(절차서) 미수립 - 작업 절차 및 작업 전 안전조치사항,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과 이에 대한 방호조치 등을 포함한 작업안전수칙이 수립되지 않음
재발방지대책
○ 프레스 금형 내 스크랩 제거작업 전 운전정지 및 안전블록 설치 등 조치 실시 - 프레스 금형 내 이물질 제거를 위해 금형 내부에서 작업을 실시할 경우 프레스 운전 정지 및 안전블록 설치 후 작업 실시
○ 표준작업안전수칙(절차서) 작성·게시 및 교육 실시 - 프레스 점검·수리 작업 시 불시기동에 의한 끼임사고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위험요인과 방호조치 등을 포함한 작업안전수칙을 작성·게시하고 지속적인 교육과 관리 실시
프레스 안전대책 : 양수조작식 방호장치
양수조작 방호장치는 2개의 누름버튼을 위험점으로부터 안전거리 이상을 격리시켜 설치하고 양손으로 동시에 조작하지 않으면 슬라이드가 작동되지 않는 구조여야 하며, SPM(Stroke Per Minute : 매분 행정수)이 120 이상의 프레스에 사용이 가능.
(1) 설치방법
누름 버튼 또는 조작레버는 매립형으로 제작되어야 하며, 반드시 두 손을 사용하여 작동하도록 하여야 한다. 또한, 누름버튼 상호간의 내측 거리는 300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. 이는 300mm 미만일 경우는 작업자의 부주의나 태만으로 인해 한 손으로 조작 할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.
(2) 특징
① 프레스의 방호장치 중 가장 널리 쓰이고 원천적으로 방호할 수 있는 장치이다.
② 급정지 기구가 부착된 마찰식 클러치 프레스에 적합하다. (단, 양수기동식은 급정지 기구가 없는 확동식 클러치 프레스에 적합)
참고자료
산업안전보건공단 국내 재해사례
'산업재해사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산업용 로봇 팔과 지그 사이에 끼임(2020.03) (0) | 2020.08.28 |
---|---|
집적리프트 사이 끼임(2020.06.08) (0) | 2020.08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