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재해예방절차
- 안전작업계획
- 안전작업
- 재발방지대책
- 리프트끼임
- 유독가스농도측정
- 끼임사고
- 질식사고
- PSSR
- PSM
- 비상조치계획
- PSM12
- 공정안전감사
- 12요소
- 끼임
- PSM12요소
- 공정안전관리
- 작업중지해제
- 프레스끼임
- 산업재해사례
- 산업안전
- IOT
- 작업중지
- 안전보건
- 자율안전확인신고
- 산업재해
- 산업재해예방
- MSDS
- 재해예방
- 고소작업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15)
Safety

9. PSM 제9요소 : 변경관리(Management of Change , MOC) 10. PSM 제10요소 : 사고조사(Incident Investigation , II) 11. PSM 제11요소 : 비상조치계획(Emergency Action Plan , EAP) 12. PSM 제12요소 : 사고조사(Compliance Audit , CA)

5. PSM 제5요소 : 협력회사 SHE관리(Contractor Safety , CONT) 6. PSM 제 6요소 : 가동 전 안전점검(Pre-Startup Safety Review , PSSR) 7. PSM 제 7요소 : 설비보전(Mechanical Integrity , MI) 8. PSM 제 8요소 : 안전작업허가(Safe Work Permit , SWP)

공정안전관리(Process Safety Management) 정의 - 화재 , 폭발 및 유해 위험물질의 누출로 인한 중대산업사고 발생 예방 - 사고 발생 시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평상시 관리 및 비상시 대응과 관련한 사항을 종합적으로 체계화한 안전관리시스템 - 중대산업사고 예방을 위한 체계적, 구체적 활동이 공정안전관리(PSM)의 취지임 ※ 중대산업사고 : 산업활동 과정에서 위험물질의 누출(Release) , 화재(Fire) , 폭발 (Explosion) 등의 발생으로 단기간 , 장기간 그 영향이 사업장 내 근로자뿐 아니라 , 인근 지역주민 , 환경까지 중대하게 미치는 사고 1. PSM 제 1요소 : 공정안전정보 (Process Safety Information , PSI) 2. PSM 제 2요소..

작업중지의 종류No작업중지의 구분관련 법령1사업주에 의한 작업중지§산업안전보건법 제51조 (사업주의 작업중지)§산업안전보건법 제 54조 (중대재해 발생 시 사업주의 조치)2근로자에 의한 작업중지§산업안전보건법 제52조 (근로자의 작업중지)3고용노동부장관에 의한 작업중지§산업안전보건법 제53조 (고용노동부장관의 시정조치 등)§산업안전보건법 제55조 (중대재해 발생 시 고용노동부자오간의 작업중지 조치) 작업중지 관련법령 산업안전보건법 제51조(사업주의 작업중지) 사업주는 산업재해가 발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을 때에는 즉시 작업을 중지시키고 근로자를 작업장소에서 대피시키는 등 안전 및 보건에 관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.산업안전보건법 제54조(중대재해 발생 시 사업주의 조치) ① 사업주는 중대재해가 발생하..

전기화재의 원인No원인내용 상세1열 축적전열기구 등에 의한 복사열 축적으로 발화되는 화재2과전류전선의 과전류에 의한 통전으로 절연체의 허용온도를 넘어서 과열되는 경우, 피복손상 및 합선 또는 직접 발화로 인해 발생하는 화재3단락기계적인 손상 또는 절연체전선의 노후로 인하여 절연체가 손실되어서 발생. 합선에 의한 스파크나 발열로 발생하는 화재4누전통전경로에서 벗어난 전류가 흐르면 스파크나 줄열의 축적. 이로인해 발생하는 화재5접촉 불량전기설비 및 전선의 접속 상태의 불량으로 인해 발생. 불량이 발생 시 접촉저항에서 스파크나 줄열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 전기화재 발생 장소에 따른 예방대책No장소예방대책 상세1전선전선 고정부 손상 여부배선/배선기구 노후상태 여부코드선 피복 및 손상 여부전선의 압착상태 및 눌림방..

해외 HSE 업무 수행 시 사고 관련 용어 정리 ■ Fatality: 일반적으로 Fat라고 명명함. 사망사고라고 표현. 질병이나 업무 도중 사망사건. FFE라고 Fatality Frequency Rate라는 Fatality 관련 계산식이 있음. FFE (Fatality Frequency Rate)의 계산 방법 ■ LTI (Lost Time Injury 또는 Lost Time Accident) : 재해나 사고로 인해 업무를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. OHSA에서는 1일이상 업무에 복귀 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. 예시로 6월 3일에 부상을 당했는데 6월 4일에 출근을 하지 못하고 6월 5일에 복귀하는 경우 6월 4일 출근을 하지 않았으므로 LTI에 해당된다. 일반적으로 대부분 국가에서는 LTI는 Lost Ti..

●재해개요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재 (주)○○○○ 에서 재해자가 로봇 용접기에 부착된 용접 팁 교체 작업 중 작동 중인 로봇 팔과 지그 사이에 흉부가 끼어 사망 팁 : 용접 스폿 공구의 끝부분으로 저항용접의 소모성 전극 지그 : 용접을 위하여 피용접제를 정확하게 고정하거나 구속하는 장치 ●재해발생원인 -로봇 가동 반경 내 출입 시 방호장치 미작동 : 로봇 가동 반경 내 출입 시 감응식 방호장치 작동에 따라 로봇의 작동이 중지되어야 하나 일시중지(muting) 기능 사용으로 방호장치 미작동 -로봇 작동 중인 셀 안으로 출입 시 로봇 운전정지 미실시 : 로봇을 정지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안전 조치가 구축되지 않은 재료 투입구 공간을 통해 셀 내부로 들어가 작업 실시 ●재발방지대책 -로봇 가동 반경 내 출입 시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