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기화재의 원인
전기화재의 원인
No | 원인 | 내용 상세 |
1 | 열 축적 | 전열기구 등에 의한 복사열 축적으로 발화되는 화재 |
2 | 과전류 | 전선의 과전류에 의한 통전으로 절연체의 허용온도를 넘어서 과열되는 경우, 피복손상 및 합선 또는 직접 발화로 인해 발생하는 화재 |
3 | 단락 | 기계적인 손상 또는 절연체전선의 노후로 인하여 절연체가 손실되어서 발생. 합선에 의한 스파크나 발열로 발생하는 화재 |
4 | 누전 | 통전경로에서 벗어난 전류가 흐르면 스파크나 줄열의 축적. 이로인해 발생하는 화재 |
5 | 접촉 불량 | 전기설비 및 전선의 접속 상태의 불량으로 인해 발생. 불량이 발생 시 접촉저항에서 스파크나 줄열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 |

전기화재 발생 장소에 따른 예방대책
No | 장소 | 예방대책 상세 |
1 | 전선 | 전선 고정부 손상 여부 |
배선/배선기구 노후상태 여부 | ||
코드선 피복 및 손상 여부 | ||
전선의 압착상태 및 눌림방지 여부 | ||
2 | 콘센트 | 콘센트 변형 및 탄흔 여부 |
코드선 분리 후 열감 확인 | ||
콘센트 플러그 삽입부분 상태 | ||
플러그 도관단자 부식상태 및 이물질 여부 | ||
3 | 전기설비 | 전열 및 전기기구 전선의 손상여부 |
전열기구 외관상태 점검 | ||
전열기구 안전장치의 동작여부 | ||
전원 접속부 접속상태 (환풍기 등) | ||
차단기 정격전류가 전선 허용전류 이상인지 여부 | ||
4 | 분전함 | 내부의 습기제거 및 청결상태 유지 및 관리 |
차단기 파손상태 여부 | ||
누전 Trip 시험동작 확인 | ||
차단기 전원 접속부 탄화 및 발열여부 | ||
절연피복상태 확인 (분전함, 전원, 전기설비 등) |

전기화재 세부관리방안
No | 주제 | 위험요인 | 예방 대책 |
1 | 가설전선 | 중량물 압착에 의한 합선화재 위험 | 중량물 압착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전선보호덮개 및 전선거치대 사용 |
피복손상에 의한 단락화재 위험 | 주기적 점검 및 절연조치 | ||
2 | 충전기 (공도구 및 무전기) | 충전기 충전단지 이물질 오염 시 열축적으로 인한 발열 | 주기적 충전단자 청소 |
3 | 콘센트 | 분진 유입상태 시 수분이 침투하면 폭발가능성 증가 | 콘센트 내부 청결 상태 |
대용량 전기설비 사용 시 과부하 화재위험 | 콘센트 1구에 2.5KW 이하 사용 | ||
멀티탭 1개당 합산 부하 4KW이하 사용 | |||
접속부 발열/화재 예방 | 전원 플러그 삽입 시 완전 밀착 (완전 밀착 시에도 접속부 발열 시 콘센트 교체) | ||
어댑터 분기 접속부 | 어댑터 분기 콘센트 사용금지 | ||
4 | 전열기구 | 과용량 사용 | 콘센트 1구당 2.5KW 이하 사용 |
콘센트 1개에 1개 이상의 전열기 사용금ㅁ지 | |||
콘센트 신품 1구 제한전류 적정값 이내 사용 (적정값 10A 이내) | |||
자동 차잔장치 미작동 | 자동 차단장치 정상작동 확인 | ||
생활 부주의로 인한 화재위험 | 난방기구 주변 가연물 주의 | ||
미사용 전열기구 전원 분리 | |||
가설사무실 한번 더 확인 | |||
퇴근 전 전원 OFF 상태 확인 | |||
개인용 전열기 사용금지 원칙 | |||
5 | 냉방기 및 난방기 (실외기) | 실외기 먼지축적 | 실외기 가동 전 실외기 먼지 제거 (진공청소기 사용) |
실외기 주변 가연물 | 실외기 주변 가연물 적치 금지 | ||
실외기 팬 구속 위험 | 실외기 가동 중 팬이음 확인 후 이상 시 AS요청 | ||
실외기 누전 발생위험 | 실외기 외함 접지 접속 확인 | ||
축열 방지 | 벽면에서 최소 10cm 이상 이격 설치 | ||
배선계통 및 합선화재 | 실외기 발판 하부 방 | ||
6 | 컨테이너 사무실 | 차단기 용량 임의 증설 시 과전류 | 과전류 보호를 위한 차단기 정격용량 사용 (배선용 메인 차단기: 30A // 누전 분기 차단기: 20A) |
분전반 내부 차단기 임의 변경 금지 | |||
컨테이너 내부 배선 전선 굵기 : 2.5SQ // 내부전선 정격 허용전류 : 26A | |||
내부 매입배선 | 못이나 피스에 의한 전선 손상 및 스파크 위험 존재 인지 후 확인 | ||
내부 매입배선을 노출배관 배선으로 변경 | |||
매입배선 시 콘센트 및 전원선 노후화 확인 |

전기 화재사고는 굉장히 위험한 사고입니다 .
사소한 원인을 제거하는 노력이 사고를 예방하는 지름길일 것 입니다!